출판 Publications

권순형과 한국현대도예

Author
visualarts
Date
2019-05-04
Views
1438


 

한국 도예계의 원로이자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도예전공 교수로 30년이 넘는 세월을 재직한 초석 권순형의 인생을 통해 한국 현대도예의 성립과 전개상을 꼼꼼하게 기술한 학술서이다. 권순형은 현대도예의 성립과 발전에 살아있는 증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 역사적 이행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인물이며, 그러한 의미에서 그의 증언을 살아생전에 기록하고, 그가 보관하고 있거나 그의 주변을 뒤져 찾아낼 수 있는 자료들을 모으고 정리하는 일은 분명한 가치가 있다.



목차

0 머리말
1 한국 현대도예의 뿌리
1-1 공예개념의 이행과 도자
1) 조선시대 말 분원의 해체와 수입자기의 증가
2) 일본 메이지明治기 근대적 도자제작기술의 발달
3) 산업으로서의 ‘공예’
4) 산업으로서의 도자
5) 미술로서의 공예
6) 미술로서의 도자
7) 미술 제도 속의 공예와 도자
1-2 소결 _ 한국 도자의 근대

2 한국 현대도예의 성립기반과 권순형 _1945~1960
2-1 권순형과 해방 후 미술대학 제도
1) 해방 후 초창기의 도안교육
2) 한국전쟁과 미술대학교육
3) 미술대학 응용미술 교육과정
2-2 해방 후 한국 도자
2-3 한국공예시범소와 권순형의미국유학
1) 한국공예시범소
2) 미국유학 그리고 도예와의 만남
2-4 소결 _ 한국 현대도예의 성립기반

3 한국 현대도예의 성립과 권순형 _1961~1970
3-1 권순형과 대학교육 활동
1) 권순형과 응용미술교육
2) 미술대학의 초기 도예교육
3-2 권순형과 국전 / 상공미전
3-3 권순형의 도예 작업과 개인전
3-4 소결 _ 한국 현대도예의 성립

4 한국 현대도예의 전개와 권순형 _ 1971~1990
4-1 한국 현대도예의 정착 _ 1970년대
1) 전시회의 폭증
2) 현대도예 단체와 단체전
3) 백운석 색유와 권순형의작품세계
4) 도예의 새로운 가능성: 도벽화
4-2 한국 현대도예의 다변화 _ 1980년대
1) 도조 혹은 오브제 도예의 등장
2) 전통과 현대성: 공예를 바라보는 이원화된 시선
3) 민간 공모전의 활성화
4-3 소결 _ 공예 정체성의 확장인가 상실인가

5 한국 현대도예의 현재와 원로 도예가 권순형 _ 1991~2009
5-1 원로 도예가 _ 1990년대
5-2 가마에서 텃밭으로 _ 2000년대

권순형 연보
참고문헌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