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Conferences
2011 조형연구소 정기학술대회_ 1954-1979,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인물과 사건 Ⅱ
- 일시: 2011. 10. 28 - 29 오후 1시 - 6시
- 장소: 서울대학교미술관MoA 소강당
- 주제: 1954-1979,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인물과 사건 Ⅱ
PART1 인물 - 2011.10. 28(금) 13:00~18:00
13:00 개회 / 사회: 정형민(서울대학교)
13:10 노수현 / 이중희(계명대학교)
13:50 송병돈 / 조은정(목포대학교)
14:30 중간 휴식
14:50 김세중 / 최태만(국민대학교)
15:30 김교만 / 강현주(인하대학교)
16:20 종합토론 / 사회: 박영택(경기대학교)
질의: 정현숙(이천시립월전미술관), 김정락(방송통신대학교)
김희영(국민대학교), 최성민(서울시립대학교)
16:50 폐회
PART2 사건 - 2011.10. 29(토) 13:00~18:00
13:00 개회 / 사회: 정형민(서울대학교)
13:10 미네소타 프로젝트 / 정영목(서울대학교)
13:50 4.19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 윤범모(경원대학교)
14:30 5.16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 박계리(이화여대박물관)
15:10 중간 휴식
15:30 한국미술그룹운동사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 김미경(강남대학교)
16:10 한국공예시범소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 김종균(특허청)
17:10 종합토론 / 사회: 정영목(서울대학교)
질의: 김진아(전남대학교), 최열(김종영미술관)
정연심(홍익대학교), 윤진섭(호남대학교)
허보윤(서울대학교)
17:40 폐회
2011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형연구소의 학술대회는 “1954-1979,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인물과 사건 Ⅱ”이라는 주제로 개최된다. 전년도에 이어, 한국 최초의 근대적 미술전문가 양성기관인 미술대학의 역사를 인물과 사건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미술대학 역사의 단면을 살펴볼 뿐 아니라, 역사의 씨실과 날실 사이에 교차하는 한국근현대미술교육의 의의를 찾아보고자 한다.
- 인물
심산 노수현(1899-1978)은 최초의 근대적 미술학교인 서화미술회 화과를 거쳐 심전 안중식과 소림 조석진에게 사사하였고, 한국근대 6대화가로 일컬어지며 전통산수화의 발전과 현대적 계승에 큰 영향을 주었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와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 위원 및 고문, 예술원 회원 등을 지냈으며 정년퇴임 후에도 1976년까지 미술대학의 명예교수로서 후진 양성에 힘썼다.
송병돈(1902-1967)은 동경미술학교를 졸업하고 평안북도 영변의 승덕중학교, 현양정중고교 교사를 역임하였고 1949년부터 1962년까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재직하였다. 정년퇴임하기까지 13년 동안 미술대학에서 서양화과 교수로서 학과의 발전과 교육에 기여하였으며, 국전 초대작가, 창작미협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김세중(1928-1986)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1954년부터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미술대학장, 한국 미술협회 이사장, 서울조각회장, 국전 심사위원, 국립현대미술관장 등을 역임하였고, 대표적 기념비조각으로는 광화문의 <충무공이순신장군상>이 있다.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을 수상하였고, 은관문화훈장을 추서받았다.
김교만(1928-1998)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 졸업한 후, 영국 세인트마틴대학에서 수학하고 1965년 미술대학의 교수로 부임하였다. 서울올림픽대회 환경장식 전문위원, 상공미전 초대작가를 역임하고 한국 산업디자인전 대회장상을 수상하였고, 동탄산업훈장을 수훈하는 등 디자이너와 교육자로서 큰 업적을 남겼다.
- 사건
1954년부터 1979년까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의 역사를 되돌아보기 위한 두 번째 주제인 ‘사건’부분에서는 미술대학과 미술계에서 일어난 중요한 활동, 한국근현대 역사적 사건과의 관계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1954년부터 1962년까지 이루어진 미네소타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던 미네소타 대학과 미술대학의 교류와 그 영향, 한국근현대 역사에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큰 4.19와 5.16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의 관계, 다양한 양상을 보였던 1950년대 이후 한국미술그룹운동과 미술대학의 활동, 1957년에 미국의 지원 하에 설립되어 3년간 운영된 우리나라 최초의 디자인 진흥기관으로 한국의 디자인교육과 디자인 방법론에 영향을 준 한국공예시범소와 미술대학의 변화 등 총 다섯 가지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미술대학 역사의 단면을 살펴볼 뿐 아니라, 역사의 씨실과 날실 사이에 교차하는 한국근현대미술교육의 의의를 찾아보고자 한다.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